우-러간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1월 소매판매 발표, FOMC 의사록 발표로 인한 금리인상 리스크로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소매판매 호조에 따른 금리인상 압박, 러시아 병력 철수에 대한 나토의 비판과 함께 증시는 하락 출발 하여 장중 등락을 거듭하다가 1월 연준 의사록이 나오면서 낙폭이 줄고 다우,나스닥은 하락마감, S&P500은 상승 마감했다.
일부 병력을 철수 시켰다는 러시아의 말과는 달리 러시아의 병력이 우크라이나 국경지역에 늘어나고 있다는 나토의 비판에 따라 지정학적 불안감 지속하며 뉴욕증시는 하락출발했다.
1월 소매판매 예상치 보다 훨씬 높은 전월 대비 3.8% 증가 (예상치 2.1%)하였다. 온라인 매출(+14.5%), 가구매출(+7.2%)이 크게 증가하였고 스포츠 용품(-3%), 가솔린(-1.3%)매출이 하락하였다.
전년 동월 대비 13%가 증가했으며 소비자들은 인플레이션 우려하면서도 소비를 늘리고 있다고 한다. 최근 소매 상승세는 가격 상승세보다 빠르게 오르고 있으며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크게 차지 하고 있다.
금일 발표된 미국 연준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은 조만간 금리인상과 대차대조표 축소(양적긴축)을 포함한 통화정책을 시행할 것을 시사했다.참여자들은 “현재 연준의 높은 자산보유 현황을 본다면 금리인상과 함께 대차대조표 축소이 적절할 것” 이라고도 언급했다.
1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참석자가 인플레이션이 기대만큼 내려가지 않는다면 예상보다 더 빠른속도로 정책완화를 없애는 것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의사록이 매파적인 어조였음에도 State Street Global Advisor 수석 경제학자는 “시장은 의사록에 대해 실제로 예상했던 것보다 비둘기파적인 분위기로 해석했다. 개인적으로는 연준의 어조는 용두사미적이었다”고 설명했다.
의원들은 팬데믹과 관련된 공급과 수요 불균형과 경제 재개방의 영향으로 최근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장기적 목표보다 높은 수준에 있고 예상했던것보다 더 오래 머물고 있다고 평가했다.
- 개인적으로 정리해보자면, 잇달아 나오는 인플레이션 데이터에 연준은 매파적 어조로 반응할 줄 알았으나 막상 의사록 보니 생각보단 비둘기적 어조였다. 의사록 내용이 딱히 서프라이즈도 아니고 우리가 이미 예상하고 있는 상황을 다시 한번 언급하고 시장을 뒤흔들만한 뉴스는 없었다. 의원들은 금리인상에 대해 매파적인 부분도 있지만 연준은 시장 예상보다 비둘기적이여서 시장 낙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반응했다 라는 것 같음.
뉴욕 증시에서 다우 지수는 0.16% 하락한 34,934.27에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 지수는 0.11%이 하락해 14,124.10를 기록했습니다. S&P500 지수는 0.09% 오른 4,475.01에 장을 마감했습니다.
10년물 미국채 수익률 전일의 2.029% -> 2.04%
미국주식(DASH, CSCO, TRIP, NVDA) 4분기 2021 실적발표
도어대시(DASH) 4분기 Q4 2021실적발표
Loss per share: $0.45 vs.예상치 $0.25
매출: $13억 vs 예상치 $12.8억
예상치 상회에 애프터마켓 주가 +30% 급등
Cisco(CSCO) 4분기 Q4 2021실적발표
Earnings: $0.84 per share vs. 예상치 $0.81per share
매출:$127억 vs. 예상치 $126.5억 → 전년 동기 대비 +6%
예상치 상회에 애프터마켓 주가 +3% 상승
TripAdvisor(TRIP) 4분기 Q4 2021실적발표
Loss per share: $0.1 vs.예상치 $0.8
예상치 하회에 애프터마켓 주가 -8.5% 하락
엔비디아(NVDA) 4분기 Q4 2021 실적발표 (자세한 실적내용은 엔비디아 FY21 Q4실적발표 참고)
매출: $76.4억 vs. 예상치 $74.2억 → 작년 동기대비 +69%
EPS:$1.32 vs. 예상치 $1.22 → 작년 동기대비 +53%
'미국 주식 > 미국 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우 간 위기에 아슬아슬한 미국 주식/뉴욕 증시 하락 마감 (0) | 2022.02.23 |
---|---|
지금이 아마존 주식 매수 기회? 향후 미증시 하락세 예상 / 뉴욕증시 하락마감 (0) | 2022.02.19 |
러-우크라 간 긴장 고조 속에 미증시 하락마감, 캐시우드 혁신ETF ARKK (0) | 2022.02.18 |
우크라이나 긴장완화에 미증시 상승마감 (0) | 2022.02.16 |
우크라이나 리스크에 뉴욕증시 하락마감 (0) | 2022.02.15 |